금천구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천구 선거구는 1996년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구로구에서 분리된 금천구 전역을 관할하는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1996년 이우재가 신한국당 소속으로 당선된 이후, 장성민, 이목희, 안형환, 이훈, 최기상 등이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최근 선거 결과로는, 제21대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최기상이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금천구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금천구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서울특별시 |
연도 | 1996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구로구 을 구로구 병 |
의원 | 최기상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의원수 | 1인 |
2. 역사
1995년 3월 1일, 구로구의 독산동과 시흥동, 가리봉3동이 금천구로 분리되었다. 이로 인해 1996년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기존의 구로구 을 선거구 (독산동, 시흥동)와 구로구 병 일부 (독산동)를 통합하여 금천구 지역구가 신설되었다.
wikitable
wikitable
3. 관할 구역
대수 관할 구역 15대 ~ 현재 금천구 전역
4. 역대 국회의원
선거 정당 의원 1996년 신한국당 이우재 2000년 새천년민주당 장성민 2002년 한나라당 이우재 2004년 열린우리당 이목희 2008년 한나라당 안형환 2012년 민주통합당 이목희 2016년 더불어민주당 이훈 2020년 더불어민주당 최기상 2024년 더불어민주당
4.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wikitable
선거 | 정당 | 의원 |
---|---|---|
1996년 | 신한국당 | 이우재 |
2000년 | 새천년민주당 | 장성민 |
2002년 | 한나라당 | 이우재 |
2004년 | 열린우리당 | 이목희 |
2008년 | 한나라당 | 안형환 |
2012년 | 민주통합당 | 이목희 |
2016년 | 더불어민주당 | 이훈 |
2020년 | 더불어민주당 | 최기상 |
2024년 | 더불어민주당 | |
4. 2. 역대 선거 결과
4. 2. 1.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wikitext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신한국당 | 이우재 | 41,412 | 37.31% |
새정치국민회의 | 이경재 | 40,771 | 36.73% |
자유민주연합 | 유지준 | 15,732 | 14.17% |
통합민주당 | 이원영 | 13,076 | 11.78% |
합계 | 110,991 |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금천구의 유권자는 193,885명이었다. 신한국당 이우재 후보가 37.3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새정치국민회의 이경재 후보는 36.73%를 득표하여 낙선하였다.
4. 2. 2.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wikitext{| class="wikitable"
|-
!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금천구 결과
|-
|
|-
| 유권자수: 192,926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장성민 | 새천년민주당 | 47,293 | 45.87% |
이우재 | 한나라당 | 41,204 | 39.96% |
유지준 | 자유민주연합 | 7,891 | 7.65% |
최규엽 | 민주노동당 | 4,258 | 4.13% |
권태훈 | 청년진보당 | 1,692 | 1.64% |
구재춘 | 민주국민당 | 756 | 0.73% |
합계 | 103,094 |
|}
4. 2. 3. 200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wikitable200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서울특별시 금천구 | |||
---|---|---|---|
유권자 수: 190,882 |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한나라당 | 이우재 | 24,649 | 54.04% |
새천년민주당 | 이목희 | 9,301 | 20.39% |
무소속 | 김기영 | 6,534 | 14.32% |
민주노동당 | 최규엽 | 2,993 | 6.56% |
사회당 | 김향미 | 2,138 | 4.69% |
합계 | 45,615 |
4. 2. 4.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wikitext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금천구 | |||
---|---|---|---|
유권자수: 197,115명 |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열린우리당 | 이목희 | 49,818표 | 42.49% |
한나라당 | 강민구 | 43,895표 | 37.44% |
새천년민주당 | 장성민 | 13,343표 | 11.38% |
민주노동당 | 최규엽 | 8,758표 | 7.47% |
자유민주연합 | 최병규 | 1,413표 | 1.20% |
합계 | 117,227표 |
4. 2. 5.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wikitable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안형환 | 한나라당 | 37,720 | 43.95% |
이목희 | 통합민주당 | 37,378 | 43.55% |
장영호 | 자유선진당 | 5,399 | 6.29% |
최석희 | 민주노동당 | 3,320 | 3.86% |
김당수 | 기독사랑실천당 | 1,283 | 1.49% |
유준수 | 평화통일가정당 | 724 | 0.84% |
합계 | 85,824 |
4. 2. 6.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wikitext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목희 | 민주통합당 | 54,547 | 52.68% |
김정훈 | 새누리당 | 37,357 | 36.08% |
정두환 | 무소속 | 4,505 | 4.35% |
안영배 | 무소속 | 3,749 | 3.62% |
임부재 | 자유선진당 | 1,539 | 1.48% |
강성현 | 무소속 | 1,086 | 1.04% |
최정식 | 국민행복당 | 748 | 0.72% |
합계 | 103,531 |
4. 2. 7.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wikitable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금천구 | |||
---|---|---|---|
450px |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이훈 | 더불어민주당 | 42,635 | 38.05 |
한인수 | 새누리당 | 38,725 | 34.56 |
정두환 | 국민의당 | 26,954 | 24.05 |
유재운 | 무소속 | 3,721 | 3.32 |
합계 | 112,035 |
4. 2. 8.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금천구 선거구의 총 유권자 수는 207,730명이었다. 더불어민주당 최기상 후보가 64,735표(49.63%)를 얻어 당선되었다. 미래통합당 강성만 후보는 46,278표(35.47%)를 얻었다. 무소속 차성수 후보는 18,365표(14.07%), 국가혁명배당금당 박창래 후보는 1,057표(0.81%)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30,435표였다.4. 2. 9.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금천구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07,518명이었다. 투표 결과, 더불어민주당 최기상 후보가 78,587표(59.03%)를 얻어 당선되었고, 국민의힘 강성만 후보는 54,525표(40.96%)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33,112표였으며, 무효표는 2,332표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